농업, 임업에서 식생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기후분류 "쾨펜-가이거 기후 구분"
지구환경에서 기후는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열대우림은 항상 습하고 더우며, 우리나라 같은 온대지방은 4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극지방으로 가면 항상 추워서 얼어있는 영구동토가 존재한다. 이런 위도뿐만 아니라 대륙의 동쪽이냐 서쪽이냐, 혹은 내륙지방이냐 해안지방이냐에 따라서 기후는 달라진다. 동물은 기후에 따라 자기가 맞는 환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간의 경우 더운 여름 그늘에서 지내거나 시원한 바닷가로 피서를 갈 수 있다. 철새와 같은 일부 새들의 경우 먼 나라로 이동하여 좋아하는 계절에 맞는 곳에서 지낼 수 있다.
하지만 식물의 경우 한번 자라기 시작하면 사람이 옮겨심는 경우가 아닌 이상 평생 그 자리에서 살아야한다. 따라서 환경이 맞지 않는 곳에서는 자라다가 빨리 죽을 것이고, 환경이 맞는 곳에서는 후손을 남길 때까지 정상적으로 살 것이고, 그러면 그 종은 그 환경에서 많이 보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식물을 이용하는 농업, 임업에서는 기후를 파악하고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기후를 분류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쾨펜-가이거 기후 구분"(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system)이 있다.
쾨펜-가이거 기후 구분은 독일의 기후학자 블라디미르 쾨펜(Wladimir Peter Köppen)이 1918년 처음 기후를 구분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1936년에 한번 수정안이 발표되었으며, 독일의 기상학자 루돌프 가이거(Rudolf Geiger)가 1954년과 1961년에 다시 수정하면서, 지금 쓰이는 쾨펜-가이거 기후 구분으로 자리를 잡았다.
괴펜-가이거 기후 분류법에서 기본적으로 알파벳 3글자로 나누는데, 각각의 알파벳에는 뜻이 있다.
첫 번째 문자 | 두 번째 문자 | 세 번째 문자 |
---|---|---|
온도대 | 강수량 | 세부기온 |
문자의 순서 | ||||||
---|---|---|---|---|---|---|
첫 번째(온도대) | A(열대 기후) | B(건조 기후) | C(온대 기후) | D(냉대 기후) | E(한대 기후) | |
두 번째(강수량) | f(연중 습윤) | s(하계 건조) | w(동계 건조) | |||
세 번째(세부기온) | a(더운 여름) | b(따뜻한 여름) | c(짧고 기온이 낮은 여름)) | d(매우 추운 겨울) | h(건조하고 따뜻한) | k(건조하고 추운) |
세부규칙
- a - 최난월이 22℃이상
- b - 최난월이 10℃이상, 22℃미만이면서 월평균기온이 10℃이상이 4개월이상일 때
- c(온대) - 최난월이 10℃이상, 22℃미만이면서 월평균기온이 10℃이상이 3개월이하일 때
- d(냉대) - 최난월이 10℃이상, 22℃미만이면서 월평균기온이 10℃이상이 3개월이하일 때 그리고 최한월이 -38℃이상, -3℃미만이여야 함
- e(한대) - 최난월이 10℃이상, 22℃미만이면서 월평균기온이 10℃이상이 3개월이하일 때 그리고 최한월이 -38℃미만이여야 함
이런 규칙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조합이 만들어진다.
기본 기후대 | 세부 기후대 | 표기 | 특징 | |
---|---|---|---|---|
A | 열대 기후 | 열대 우림 기후 | Af | 건조기 없음 |
열대 몬순 기후 | Am | 짧은 건조기 | ||
사바나 기후 | Aw | 동계 건조 | ||
열대 하계 소우 기후 | As | 하계 건조 | ||
B | 건조 기후 | 사막 기후 | Bwh | 온난 사막 |
Bwk | 한랭 사막 | |||
스텝 기후 | Bsh | 온난 스텝 | ||
Bsk | 한랭 스텝 | |||
C | 온대 기후 | 온난 습윤 기후 | Cfa | 더운 여름, 건조기 없음 |
서안 해양성 기후 | Cfb | 연중 온난, 건조기 없음, 따뜻한 여름 | ||
Cfc | 연중 서늘, 건조기 없음, 선선한 여름 | |||
온대 하우 기후 | Cwa | 더운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 ||
Cwb | 따뜻한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 |||
Cwc | 선선한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 |||
지중해성 기후 | Csa | 건조하고 더운 여름 | ||
Csb | 건조하고 따뜻한 여름 | |||
Csc | 건조하고 선선한 여름 | |||
D | 냉대 기후 | 냉대 습윤 기후 | Dfa | 동계 한랭, 더운 여름, 건조기 없음 |
Dfb | 동계 한랭, 따뜻한 여름, 건조기 없음 | |||
Dfc | 동계 한랭, 선선한 여름, 건조기 없음 | |||
Dfd | 동계 한랭 극심, 선선한 여름, 건조기 없음 | |||
냉대 동계 소우 기후 | Dwa | 동계 한랭 건조, 더운 여름 | ||
Dwb | 동계 한랭 건조, 따뜻한 여름 | |||
Dwc | 동계 한랭 건조, 선선한 여름 | |||
Dwd | 동계 한랭 극심 건조, 선선한 여름 | |||
고지 지중해성 기후 | Dsa | 동계 한랭, 덥고 건조한 여름 | ||
Dsb | 동계 한랭, 따뜻하고 건조한 여름 | |||
Dsc | 동계 한랭, 선선하고 건조한 여름 | |||
Dsd | 동계 한랭 극심, 선선하고 건조한 여름 | |||
E | 한대 기후 | 툰드라 기후 | ET | 여름이 없음 |
빙설 기후 | EF | 영구 동토 |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 대전 등 대부분의 지역은 Dwa로 분류된다. 그리고 서해안 및 태백산맥 지역에는 Dfa로 분류되고, 남해안 지방은 Cfa와 일부 아열대성 Cwa로 분류된다. 전세계적으로 봐도 Dwa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지방 등 고구려 옛땅정도만이 그런 것 같다. 물론 이것도 사람이 분류한 것이라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보고,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해마다 조금씩 바뀌기도 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이 기후대를 알면 농업, 임업에서 활용하기가 좋다. 농업에서 활용하자면, 같은 기후에 있는 식물을 도입하여 재배하거나, 아니면 온실 등을 활용하여 원산지의 기후에 맞는 환경을 조성해줘야한다. 임업에서도 마찬가지로 완전히 동일한 기후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비슷한 기후의 나무를 도입하거나, 원산지와 비슷한 환경으로 맞춰주지 않으면 금방 말라죽거나 얼어죽고 말 것이다.
생물학뿐만이 아닌 모든 학문이 발전하고 있으니, 지구과학, 특히 기상학도 발전하여 더욱 더 정확한 기후정보를 제공하면 농업/임업에서도 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 같다.
참고문헌: 국문 위키피디아 "쾨펜의 기후 구분" (https://ko.wikipedia.org/wiki/%EC%BE%A8%ED%8E%9C%EC%9D%98_%EA%B8%B0%ED%9B%84_%EA%B5%AC%EB%B6%84)
영문 위키피디아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https://en.wikipedia.org/wiki/K%C3%B6ppen_climate_classification)
댓글
댓글 쓰기